맹자가 생각하는 리더란? 3. 자기 자신에게 엄격하라.
일반적으로 리더란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고 존중받으려면 그럴만한 인품을 지녀야 한다. 만약 당신이 한 기업의 경영자라면 더욱 그렇다. 여기에서 말하는 인품 중 중요한 것은 자기 관리이다. 맹자는 어떤 사람이 자기의 밭은 경작하지 않고 남의 밭에 가서 풀을 뽑으라고 참견하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를 한다. 즉 리더는 다른 사람에게는 엄격하게 대하면서 자신에게는 너그러운 태도를 말하는 것이다.
한 기업의 리더로서 자신에게 더욱 엄격해댜 아랫사람들의 마음을 얻고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다. 그렇지 못하면 경영자나 리더는 영향력을 발휘하기는커녕 그저 장식품으로 전략할 것이다. 그렇다면 당신은 어떠한가? 항상 자신의 이익만 생각하는 사람은 절대 훌륭한 리더가 될 수 없다. 당신이 리더로서의 조건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는 동안 부하 직원들은 당신의 일거수일투족을 지켜볼 것이다. "우리 사장님이 하시는 일을 보니 확실히 믿음이 가네" " 우리 사장님은 정말 존경할 만해" 안타까운 사실은 대부분의 기업 경영자들이나 리더들이 자신에 대한 기준을 엄격히 하는데 소홀하거나 그 중요성을 전혀 깨닫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에게 책임을 전가해 스스로 위안을 삼는다.
신제품 개발이 시급한 회사에서 회의를 열었다. 그럴듯한 아이디어 하나 내놓지 못하고 어물거리기만 하는 임원들을 보며 사장은 울화가 치밀었다 "당신들이 높은 연봉을 받아먹는 임원들이요? 부끄럽지 않소? 어떻게 새로운 아이디어 하나 생각해 내지 못하는거요?" 새로운 아이디여는 꼭 아랫사람만이 생각해야 하는 건 아니다. 리더 자신이 누구보다도 머리를 써야 하는 것이다. 그래서 먼저 어느 정도 틀을 만들고 대략적인 방향을 정한 다음 임원들에게 세부적인 기획을 마련하게 하는 것이 옳다. 이렇게 위아래가 합심하면 더 빠르고 효과적인 성과를 거둘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 않고 리더가 모든 책임을 부하 직원에게만 미룬다면 설사 일이 성공하더라도 그 리더는 신뢰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임원들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생각해보라. 과연 부하 직원들이 이런 임원들을 어떻게 생각하겠는가? 앞으로 직원들은 그들을 은연중에 무시하게 될 것이다. 부하 직원들의 마음속에 이런 감정이 싹튼다면 이 임원들은 절대 그들을 이끌 수 없다. 어쩌면 능력 있는 부하 직원이 임원들과 경쟁하거나 어느새 이들을 밟고 일어설 수도 있다. 대개 기업에서 부하 직원이 특별히 추종하는 상사가 있다면 그 이유는 둘중 하나이다. 하나는 그가 회사 경영에 행사할 수 있는 인물이라고 인정해서이다. 복종하지 않으면 불이익을 받을 거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그가 업무 파악 능력이 뛰어나고 해박한 지식과 경험을 지니고 있는 인재이기 때문이다. 그의 밑에서 일하면 절대 일이 잘못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가 아니라면 부하 직원들은 당장 상사를 떠날 것이다.
"남을 잘 다스리는 자는 자신을 잘 다스린다" 는 말이 있다. 어느 회사든 치열한 경쟁을 이겨내야 발전할 수 있다. 이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그 회사의 리더가 명확한 자각 의식을 지녀야 한다. 직원들이 시간을 엄수하길 바란다면 사장과 임원들이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한다. 아랫사람들에게 책임을 물으려면 반드시 리더는 먼저 자신의 본분을 인지하고 책임을 다해야 한다. 자신에 세 엄격한 리더가 되어야 아랫사람들에게 자율성을 강조할 수 있으며 바른 방향으로 인도할 수 있는 것이다.
리더가 귀감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몇가지 조건을 갖추어야만 한다.
1. 다른 사람의 감독을 기꺼이 받아들인다.-- 세계적인 패스트푸드 체인업체인 맥도널드의 사례를 살펴보자. 2000년대 초 맥도널드는 팍스 아메리카나의 부패한 자본주의의 상징으로 부각되어 심각한 경영난을 겪게 되었다. 이에 맥도널드 CEO는 직접 각 부문의 업무 실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 각 부문을 칙임 지고 있는 이사들이 위기에도 의자 등받이에 기대앉아 구태의연한 지시만 내리고 있음을 알게 되었고 CEO는 당장 맥도널드 각 체인점에 점장의 의자 등받이를 없애라고 지시했다고 한다. 이것은 체인점 점장을 비롯해 각 부문의 사장들이 현장의 현실과 문제점을 직시하도록 하기 위한 조치였다. 이러한 조치는 맥도널드의 경영 상태를 크게 호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고 한다.
2. 늘 청렴하고 검소한 자세를 잃지 않아야 한다. 회사의 리더라면 반드시 절약하고 검소해야 한다. 비록 작고 사소한 일이라도 회사 전체에 엄청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타이완플라스틱그룹 회장 왕용칭은 " 근검절약은 최고의 미덕이며 방탕과 무절제는 최악의 오점이다" 하고 말했다. 왕용진은 평생 이 말 그대로 행동했다. 타이완 플라스틱에서는 그가 새 비누에 붙여 쓴다는 것을 모르는 사람이 없다. 왕용진 회장은 " 아주 적은 돈이라도 차곡차곡 모아 유용하게 써야 한다. 이것은 절대 쩨쩨하거나 인색한 것이 아니라 하나의 훌륭한 정신이다." 하고 말했다.
훌륭한 리더가 되는 일은 결코 쉬운일이 아니다. 매일매일 타인하고의 분쟁이 아닌 자기 자신과의 싸움인 것이다. 자기와의 약속을 지키고 타인과의 약속을 지키고 다른 사람의 쓴소리도 기꺼이 들을 줄 하며 남을 속이거나 자신을 속이는 행동을 하면 안 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자신에게 엄격한 사람은 모든 사람에게 환영받을 것이며 사람들은 더욱 적극적인 자세로 리더를 따를 것입니다.